중국 AI 연구소 DeepSeek이 2025년,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OpenAI, Meta, Google과 경쟁할 수 있는 오픈 AI 모델을 공개하면서 글로벌 AI 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다.
DeepSeek은 기존 AI 기업들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모델을 개발했으며, 가격 역시 미국 AI 기업들이 제공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다. 이러한 발전은 단순히 AI 업계를 넘어 미국 정부까지 긴장하게 만들었다. 미국은 AI 경쟁에서 중국이 앞서 나가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AI 인프라 스타트업 Anyscale의 공동 창립자인 Robert Nishihara는 TechCrunch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AI 연구소들이 현재 비상회의를 진행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eepSeek의 혁신적인 학습 방법
DeepSeek이 개발한 R1 모델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순수 강화 학습(pure reinforcement learning)' 방식이다. 이는 인간이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하는 것과 유사하다. Stanford 대학교 강사이자 Workera의 CEO인 Kian Katanforoosh는 DeepSeek의 학습 방식을 "어린아이가 뜨거운 접시를 만지고 화상을 입은 후 다시 만지지 않는 법을 배우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강화 학습은 AI 모델을 발전시키는 가장 강력한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OpenAI 또한 강화 학습을 활용하여 최근 o1 모델을 공개했으며, 향후 출시될 o3 모델에서도 이 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방식은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AI 정책 변화의 전환점
DeepSeek의 R1 모델은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모든 기기에서 다운로드 및 실행할 수 있다. 성능 면에서 OpenAI의 o1 모델과 동등하거나 뛰어난 결과를 보이며, 특히 학습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DeepSeek의 성장은 미국 정부가 AI 분야에서 개방형(Open) 모델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Andreessen Horowitz(a16z)의 파트너 Martin Casado는 TechCrunch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례는 지난 2년간 AI에 대한 규제적 접근 방식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Casado는 "AI 기술은 미국만이 독점적으로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경쟁력 있는 AI 기술은 어디서든 나올 수 있으며, 특히 중국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미국은 AI 혁신을 저해하는 대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의 반응
이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DeepSeek의 등장을 "미국 AI 기업들에게 주는 경고"라고 평가하며, "중국 AI 연구소가 오픈 소스 접근 방식을 택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는 AI 혁신을 지지하는 a16z의 입장과도 일맥상통한다.
또한, a16z의 공동 창립자인 Marc Andreessen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서 "DeepSeek R1은 AI 분야의 스푸트니크(Sputnik) 순간이다"라고 언급하며, 과거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을 발사한 이후 미국이 우주 개발에 박차를 가했던 사례와 비교했다.
DeepSeek의 한계와 논란
그러나 DeepSeek의 성과를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예를 들어, DeepSeek은 자사의 V3 모델을 불과 560만 달러로 훈련시켰다고 주장하지만, AI 업계에서는 이를 의심하고 있다. 또한, DeepSeek이 50,000개 이상의 Nvidia Hopper GPU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순한 저비용 모델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뿐만 아니라, DeepSeek의 AI 모델은 아직 한계를 보이고 있다. NewsGuard의 테스트에 따르면, R1 모델은 뉴스 관련 질문에 대해 83%의 비율로 부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거나 답변을 거부했다. 또한, 중국과 관련된 질문의 85%를 거부하는 등 정부 검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 OpenAI는 DeepSeek이 자사 AI 모델을 활용해 자체 모델을 훈련시켰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OpenAI의 이용 약관을 위반하는 행위로, 지적 재산권 침해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의 전망
DeepSeek은 기존 AI 연구소보다 효율적인 모델을 개발하며 AI 시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R1 모델은 AI의 사고 과정을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신뢰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AI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변화로 평가된다.
향후,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과 AI 연구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 DeepSeek의 등장은 AI 산업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것이며, 이는 AI 발전 속도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