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반응형
파이썬/문법

파이썬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차이 정리: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자료형 비교!

  • -
반응형

 

파이썬을 처음 시작했다면 반드시 만나는 3가지 자료형: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차이 정리를 주제로, 각 자료형의 특징과 사용 예시, 차이점을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list랑 tuple이 뭐가 다르지?”라는 생각 해보셨다면, 오늘은 파이썬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차이 정리로 개념을 확실히 잡아보세요.

 

1. 파이썬에서 가장 자주 쓰는 자료형 3총사

파이썬은 문법이 쉬운 만큼, 기본 자료형만 잘 이해해도 프로그램 대부분을 짤 수 있어요. 그중에서도 리스트(list), 튜플(tuple), 딕셔너리(dictionary)는 꼭 알아야 할 핵심이죠.


2. 리스트(List)란?

  • 정의: 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특징:
    • [] 대괄호 사용
    • 수정(변경), 삭제, 추가 가능
    • 순서(index) 존재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1])  # banana
fruits.append("grape")
  • 언제 사용하나요?
    • 바뀔 수 있는 데이터 모음을 다룰 때
    •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일 때

 

3. 튜플(Tuple)란?

  • 정의: 리스트처럼 여러 값을 담지만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
  • 특징:
    • () 소괄호 사용
    • 요소 수정, 삭제 불가 (읽기 전용)
    • 순서(index) 존재
colors = ("red", "green", "blue")
print(colors[0])  # red
  • 언제 사용하나요?
    •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을 때
    • 메모리 효율이 더 중요할 때

 

4. 딕셔너리(Dictionary)란?

  • 정의: 키(key)와 값(value)을 쌍으로 저장하는 자료형
  • 특징:
    • {} 중괄호 사용
    • 순서가 없고, 키로 값에 접근
    • 키는 고유해야 함
student = {"name": "Alice", "age": 12, "grade": "A"}
print(student["name"])  # Alice
  • 언제 사용하나요?
    • 데이터에 **이름표(키)**를 붙여 저장하고 싶을 때
    • 빠르게 값을 찾고 싶을 때

 

5. 리스트 vs 튜플 vs 딕셔너리 한눈에 비교 

항목 리스트 (List)  튜플 (Tuple)  딕셔너리 (Dictionary)
괄호 [] () {}
수정 가능성 가능 불가능 값 수정 가능
순서 있음 있음 없음 (3.7 이후 일부 있음)
접근 방식 인덱스 인덱스
주요 용도 변경 가능한 데이터 고정된 데이터 이름 붙은 데이터 저장

6. 실전 예제: 학생 정보 관리

리스트로 표현

students = ["Alice", "Bob", "Charlie"]

튜플로 표현

score_range = (0, 100)  # 변하지 않는 점수 범위

딕셔너리로 표현

student = {
    "name": "Alice",
    "scores": [95, 88, 92],
    "passed": True
}

7. 외부 학습 자료 추천


마무리: 자료형만 잘 알아도 파이썬이 쉬워진다!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는 파이썬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자료형이에요.
파이썬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차이 정리를 통해 자료형 개념을 확실히 잡으면, 실전 문제에서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자료형만 잘 다뤄도 파이썬의 절반은 마스터한 거예요!
천천히 따라와도 괜찮아요. 😊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